본문 바로가기
Develop

HTTP 요청 메서드 등등

by jaeyoungb 2022. 10. 3.

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게 요청하는 목적과 종류를 알리는 수단이다.

HTTP 요청 메시지의 첫째 줄, 맨 앞에 위치한다.

 

 

HTTP는 요청 메서드를 정의하고, 주어진 리소스에 수행하길 원하는 행동을 나타낸다.

HTTP 요청 메서드를 HTTP 동사라고 부르기도 한다.

 

 

HTTP 요청 메서드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.

(CRUD : Create, Read, Update, Delete)

 

 

  • GET : Read

클라이언트가 서버에 특정 리소스의 표시를 요청한다. 오직 데이터를 받기만 하는 메서드이다.

 

  • HEAD : 메세지 헤더(문서 정보) 취득

GET 메서드와 동일한 요청이지만, 응답의 본문을 포함하지 않는다.

 

  • POST : Create

클라이언트가 서버의 리소스를 새로 만들 때 사용한다. POST 메서드는 가끔 서버의 상태의 변화나 부작용을 일으킨다.

 

  • PUT : 전체 Update

클라이언트가 서버의 리소스를 수정할 때 사용한다.

 

  • PATCH : 일부 Update

리소스의 부분만을 수정하는 데 쓰인다.

 

  • DELETE : Delete

특정 리소스를 삭제한다.

 

  • CONNECT : 중간 서버 경유(거의 사용 안함)

목적 리소스로 식별되는 서버로의 터널을 맺는다.

 

  • OPTIONS

클라이언트가 서버에서 해당 URL이 어떤 메서드를 지원하는지 확인할 때 사용한다.

 

  • TRACE

요청 리소스가 수신되는 경로 표시(거의 사용 안함)

 

 

 

Reference)
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HTTP/Messages
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HTTP/Methods

 

 

HTTP 요청에 따른 상태 코드
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HTTP/Status 

 

MIME 타입
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HTTP/Basics_of_HTTP/MIME_types   

 

브라우저 작동 원리

https://d2.naver.com/helloworld/59361

'Develo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CID란?  (0) 2022.10.05
API란?  (0) 2022.10.04
CORS란?  (0) 2022.10.02
TCP 3-way handshake  (0) 2022.09.30
TCP vs UDP  (0) 2022.09.30